본문 바로가기
경제이야기

직접세와 간접세, 그 차이점은?

by 하루-종일 2025. 4. 6.
반응형

직접세란?

직접세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동일한 세금입니다.
즉, 세금을 납부하는 사람이 그 세금을 실제로 부담하게 되는 것이죠.
이러한 세금은 조세 부담이 다른 사람에게 전가되지 않기 때문에 '직접'세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.

대표적인 직접세 예시

  • 소득세
  • 법인세
  • 상속세
  • 증여세
  • 종합부동산세 등

간접세란?

간접세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다른 세금입니다.
쉽게 말해, 세금을 납부하는 사람은 따로 있지만, 실제 부담은 다른 사람이 하게 되는 구조죠.
예를 들어 물건을 살 때 붙는 세금은 소비자가 부담하지만, 납부는 판매자가 하게 됩니다.

 

대표적인 간접세 예시

  • 부가가치세
  • 개별소비세
  • 주세(술에 붙는 세금)
  • 인지세
  • 증권거래세

 

✅ 간접세의 장단점

장점

  • 소비자가 세금을 직접 내는 구조가 아니라 조세에 대한 저항이 적음
  • 징수 절차가 간단해서 조세 수입 확보에 유리

단점

  • 개인의 소득이나 상황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비례세율 적용
  • 결과적으로 소득이 적은 사람에게 더 무거운 세금 부담이 될 수 있음 → ‘역진성’ 문제 발생
  • 공평한 세금 부과의 원칙과 충돌 가능성 있음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