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직접세란?
직접세는 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동일한 세금입니다.
즉, 세금을 납부하는 사람이 그 세금을 실제로 부담하게 되는 것이죠.
이러한 세금은 조세 부담이 다른 사람에게 전가되지 않기 때문에 '직접'세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.
대표적인 직접세 예시
- 소득세
- 법인세
- 상속세
- 증여세
- 종합부동산세 등
간접세란?
간접세는 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다른 세금입니다.
쉽게 말해, 세금을 납부하는 사람은 따로 있지만, 실제 부담은 다른 사람이 하게 되는 구조죠.
예를 들어 물건을 살 때 붙는 세금은 소비자가 부담하지만, 납부는 판매자가 하게 됩니다.
대표적인 간접세 예시
- 부가가치세
- 개별소비세
- 주세(술에 붙는 세금)
- 인지세
- 증권거래세
✅ 간접세의 장단점
장점
- 소비자가 세금을 직접 내는 구조가 아니라 조세에 대한 저항이 적음
- 징수 절차가 간단해서 조세 수입 확보에 유리
단점
- 개인의 소득이나 상황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비례세율 적용
- 결과적으로 소득이 적은 사람에게 더 무거운 세금 부담이 될 수 있음 → ‘역진성’ 문제 발생
- 공평한 세금 부과의 원칙과 충돌 가능성 있음
반응형
'경제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제 성장의 핵심 지표, 가계순저축률 제대로 이해하기 (0) | 2025.01.22 |
---|---|
미리 알고 대비하자! 가계부채 위험도 측정하는 HDRI란? (0) | 2024.05.21 |
투자자가 알아두면 좋은 밸류업 개념 밸류업이란? (0) | 2024.05.05 |
과시욕이 불러오는 소비심리, 베블런 효과란? (Thorstein Bunde Veblen) (0) | 2024.04.23 |
유행에 민감한 당신이라면 조심해야 할 밴드웨건 효과(Bandwagon effect)란? (0) | 2024.04.22 |